언론에서 본 학교

[한국사 속 인물] 신라시대 지증왕 (2021년8월31일, 소년조선일보, 박은철 교장 글 그림)

관리자
2021-09-02

환갑 넘어 '신라 왕' 등극… 우산국 정벌해 독도까지 영토 넓혀


 [한국사 속 인물] 신라시대 지증왕

내 나이가 어때서



나는 신라의 22대 왕 '지증왕'이야. 내가 신라의 왕이 됐을 때 나이가 몇 살이었게? 무려 환갑이 지난 64세였어. 아마 '세계사 기네스북'이란 게 있다면 최고령 즉위 분야 타이틀을 따지 않았을까 싶어. 하지만 그만큼 연륜이 있으니 젊은 사람들보다 훨씬 지혜로웠다고 생각해. 그야말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할 뿐이니까. 의욕적으로 여러 가지 개혁을 해 신라가 고대 국가가 되는 기틀을 마련한 게 바로 나거든. 후세 사람들이 나를 '신라의 카리스마'라 부른다 하더라고.

왕이 되자마자 악습(惡習)인 순장 제도부터 없애 버렸어. 순장은 신분이 높은 사람이 죽으면 그 사람 뒤를 따라 산 사람을 함께 묻던 매우 야만적인 풍습이야.

또한 신기술 농법인 우경(牛耕), 즉 소를 이용해 밭을 가는 법을 도입했지. 이것은 백성 수를 늘리고 농작물 생산량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어. 그러자 군사력도 강화되고 백성의 생활이 풍요해졌지.

    경북 경주시에 있는 '천마총'은 지증왕의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이다. /조선일보DB


▲ 경북 경주시에 있는 '천마총'은 지증왕의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이다. /조선일보DB


내가 신라의 왕이다

'신라(新羅)'라는 이름은 사실 내가 왕이었을 때 지어진 이름이야. 신하들이 '왕의 덕은 날로 새로워지고 천하를 그물처럼 아우른다'는 뜻인 '신라'라는 이름을 제안해서 나라 이름으로 정했어. 그리고 국가 최고 지도자인 임금의 명칭도 '마립간'에서 '왕(王)'으로 바꿨지. '왕'이라는 칭호는 당시 세계적인 추세였거든. 하지만 이건 단순히 이름만 바뀌는 차원이 아니었어. 우리나라가 중국이라는 큰 문명 세계와 활발히 교류하는, 국제 감각을 지닌 앞선 나라라는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이기도 했지.

    '삼국사기'에는 지증왕 13년 이사부 장군이 우산국을 정벌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독도연구소 홈페이지


▲ '삼국사기'에는 지증왕 13년 이사부 장군이 우산국을 정벌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독도연구소 홈페이지



나 때 이미 독도는 우리 땅

내가 한 일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어. 중국의 지방 통치 시스템인 '군현제'를 받아들여 행정 구역을 나누고 영토 늘리는 데에 힘을 쏟았지. 게다가 512년에는 이사부 장군을 시켜서 지금 울릉도에 있던 우산국을 정벌했는데, 이때 우산국에 딸린 섬인 독도도 신라 땅이 됐어. 이때부터 '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도 우겨도 독도는 우리 땅'이 된 거야. 역사서 '삼국사기'에도 실렸으니 확인해 봐. 나의 이런 자신감 있는 개혁은 나중에 아들 법흥왕이 본격적으로 정치 제도를 개선할 때 든든한 기반이 돼 줬어.



 [한국사 속 인물] 신라시대 지증왕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인물

이사부 장군

신라가 우산국(지금의 울릉도)을 귀속시키려 했을 때, 그곳 주민들이 사나워 힘으로는 정복하기 어려웠다고 해. 이때 이사부의 아이디어가 빛을 발했지. 이사부는 사자 모양의 나무 인형을 만들어 배에 가득 싣고 “항복하지 않으면 맹수를 풀어 밟아 죽이겠다”고 우산국 사람들을 위협했어. 결국 겁에 질린 우산국 사람들이 항복했고 울릉도와 독도가 신라의 땅이 됐지.


한 자 한자 익히는 漢字 ☞新이 들어가는 한자어를 알아봐요

 [한국사 속 인물] 신라시대 지증왕

● 주간 인물 한국사

창비|박은철 지음


10321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하이파크로 161 (덕이동 329), 개인정보보호책임자: 박은철

초등  031-929-9500   /   중고등  031-929-9518

행정실 031-929-9507  /  팩스  031-929-9508  /  이메일  ksdream9507@korea.kr

© COPYRIGHT 2015 BY KWANGSUNG. ALL RIGHTS RESERVED.